살며 생각하며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보며

OappleO 2024. 10. 11. 21:00

어제 어느 뉴스를 보다 속보 문자로 뜨는 한강의 노벨문학상 수상 소식을 보았다.

우리나라에서 노벨문학상 수상자를 만들어내기 위해 부단히 노력한 것을 보았다.
한때는 박경리를 노벨문학상 수상자로 밀기 위해 애썼고,
이후 고은 시인과 황석영 소설가를 거론하기도 했다.

내 생각에는 조정래의 태백산맥이 좋았다.
특히나 그 딸뜨기의 장면은 지금도 눈 앞에 아련하다. <<남부군>>의 한 장면이었나...

한강의 아버지 한승원 소설가도 말했지만, 번역가를 잘 만나서 일정한 혜택을 보았다는 생각이 든다.
그리고 위에 든 소설가들의 작품은 대단히 긴 장편 서사고 우리나라의 문제를 파헤친 것이라 번역도 힘들뿐 아니라
번역되어도 외국인이 읽어서 공감하기가 쉽지 않을 것이다.
나도 한때는 문학소년이어서 소설을 꽤 읽었지만 나이 들며 소설과 멀어지며 한강 작가의 작품은 가끔 풍문으로만 들었지 
하나도 읽어보지 않았다.

이제 검색해보니 이삼백 페이지 분량의 책이다.
아마도 이 정도는 번역가에게도 그리 부담가지 않는 분량일듯 하다.
나름 작품성이 있겠지만 하나도 안 읽어본 입장에서는 가타부타 말하는 것은 삼가고 싶다.
무언지 모르지만 난데없는 일이고, 시운이 따른 것이고, 적당한 분량의 책이고, 번역가를 잘 만났고, ...
그러나 웬지 위화감이 들기도 한다. 뭐지... ??


 "올해 수상 후보로 가장 많이 거론한 사람은 중국 작가 찬쉐였다"라며 "그는 장르를 뛰어넘는 소설을 쓰는 중국의 혁신적인 작가다"라고 설명했다. 미국 공영 방송사 NPR 또한 "유명 베팅사이트에서 중국 찬쉐에게 가장 높은 우승 배당률이 제시됐다"라며 "호주 소설가 제럴드 머네인, 일본 작가 무라카미 하루키, 그리스 작가 에르시 소티로풀로스 등의 순으로 배당률이 높았다"고 보도했다. 

노벨위원회의 안데르스 올손 의장은 수상자 선정 기자회견에서 "역사의 상처를 마주 보고 인간 삶의 취약함을 그대로 드러내는 작가의 강렬한 시적 산문"을 높이 칭찬했다. 한강의 작품들을 두고 "역사의 상처와 맞서고 있으며 작품마다 인간 삶의 부서지기 쉬운 취약함을 그대로 드러낸다"라며 "특히 작가는 몸과 마음, 산 자와 죽은 자가 서로 연결된다는 독특한 의식을 하고 있으면서 시적이고 실험적인 스타일을 통해 현세대의 산문을 혁신하는 작가가 되었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어쨌건 한강 씨의 노벨문학상 수상을 축하 못 할 사정은 없다.
최소한 <<채식주의자>>는 읽어볼까 하는 맘도 생긴다.